바다제비, 슴새는 어디에 둥지를 트나?..10만 쌍의 바닷새 서식지 복원🪽🪽🦆🕊️
바다제비와 슴새,뿔쇠오리,바다쇠오리는 바닷새입니다.🪽
다도해에 보석처럼 뿌려진 섬들 속에 바닷새들이 찾아와 번식하는 곳이 있습니다.
인적도 드물고 환경이 좋기때문입니다.
대표적인 섬은 섬 전체가 기념물인🕊️ 신안군 칠발도와 흑산면에 딸린 구굴도입니다. 물론 2곳 모두 무인도입니다.
칠발도와 구굴도는 봄가을 이동하는 철새들의 중간 기착이자 주요 바닷새의 세계적인 번식지입니다.
두 섬에는 🕊️🕊️🕊️뿔쇠오리,바다쇠오리,바다제비,슴새 등 4종의 바닷새 10만 쌍 이상이 번식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특히 바다제비는 6월에 와서 10월까지 번식하는데 섬에서 자생하는 식물인 밀사초 뿌리 주변의 부드러운 흙을 파서 만든 굴이나 바위틈에서 서식합니다.
전 세계 개체군의 80% 이상이 신안 구굴도(최대 10만 쌍)와 칠발도(1만 쌍) 두 섬에서 번식하기 때문에 종 보전을 위한 서식지 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생태적인 가치 또한 높습니다.
그런데 섬에서 자생하지 않았던 쇠무릎이 유입돼 번식지 교란이 일어나 매년 많은 수의 바다제비 폐사가 확인되면서 비상이 걸렸습니다.
신안군은 지난 2011년부터 문화재청, 국립공원공단, 해양항만청, 지역 대학교 등 관련기관과 번식지 복원 협의체를 구성해 쇠무릎을 제거하고 번식에 필요한 밀사초를 이식하는 서식지 개선 사업을 추진했습니다.
13년 간 노력의 결과는 어땠을까요?
연간 최대 1천마리가량이 폐사했던 바다제비가 복원 사업 후 매년 점진적으로 피해 개체수가 줄었으며 작년 조사 결과 95% 급감한 43마리만 확인됐습니다.😀😀
바다제비 서식지 개선 사업 이외에도 호주 연구팀(Australasian Seabird Group)과 국제 공동 조사도 했습니다.
2022년부터 바다제비의 먹이, 번식 개체군 변화, 월동지 추적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동안 밝혀지지 않은 바다제비의 생태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를 2026년까지 추진하고 있습니다.
🕊️🕊️연구기관이 아닌 지자체에서 철새 서식지 개선을 위해 13년간 꾸준히 추진한 사례는 보기 드물죠.
철새들이 찾는 다도해 외딴 섬들.
청정 환경 속에 생명이 있는 곳은 아름답습니다.🕊️